한국무술, 단증발행의 구조적 문제

채널A 방송에 나온 태권도 단증관련 비용

대한민국 국기인 태권도를 비롯해서 적지 않은 무술단체들이 단증 발행에 대한 비리 문제로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다. 뉴스에서 그동안 ‘단증장사’에 대한 비판 기사가 수도없이 나오고 있지만 고쳐지지 않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 원인을 생각해 보면 어렵지 않게 알수 있는 것이 있다.

동네 체육관에서 단증 발행이 도장 수입으로 연결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단증을 둘러싼 비리를 살펴보면 도장이 올바른 인성교육의 장이 되어질 수 있는지 의심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단증을 발행하는 협회는 정부기관으로부터 금전적 지원을 받고 있지 않는 이상 인건비와 사무실 운영과 기타비용 등의 지출을 위한 수익구조로서 단증 발행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채널A 뉴스에서 보듯이 태권도 1단이 43,700원이다. 한국형 합기도라고 하는 협회에서 최근 공개한 승단비는 18,000원이다. 인건비와 경비 비용을 위해 얼마나 많은 단증을 발행해야 하는지 예상할 수 있다. 단증 장사라는 말은 어느 한 단체를 콕 찝어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단증 장사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고질적인 구조적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도의 나라라고 하는 일본은 어떤가?

동경에 있는 합기도 세계본부의 예를 들면 승단심사는 6단 이상의 신뢰할 수 있는 선생이 추천하며 각 도장에서 배출된 승단자 이름을 매달 발행되는 합기도신문에 공개하고 있어서 부정하게 올라가는 것을 경계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누가 승단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고단자 반열의 숫자에 의해 각 나라의 성장 속도를 알 수 있다. 오랜세월이 지나도 자신을 추천한 선생이 누구인지, 승단을 누가 허가했는지 정확히 기억할 수 있다.    

어떻게 조직의 수입을 감당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은 신규 가입하는 회원들이 입회료를 납입하고 납입금은 협회로 모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새로 시작하는 숫자만큼 수익이 잡히는 구조다. 그것은 단증을 발행 해야지만 수익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단증 발행 없이도 각지부에서 올라오는 입회료 만으로도 조직이 운영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입회료는 시작하면서 납부하는 비용이고 단증료는 어느 정도 수련해야지 발생하는 비용이다.

앞에 뉴스에서 보듯 심사에 대한 부정과 비리가 판을 치는 것은 협회 수입이 단증료 만으로 이루어져서 생긴 부작용이라고 볼수 있다. 국내 무술도장들이 신규회원에게 입회료를 면제해 주는 환경에서는 특히 계보가 없이 이방인이나 다름없는 관장들로 구성되어 있는 협회가 입회료를 걷는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결국 단증 발행으로 얻는 수익밖에 없게 되고 그것은 부실한 단을 만드는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사범자격증을 만들어서 수료증처럼 남발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실력과 수련의 깊이를 표시하는 단증이 단위(段位)를 구별하는 곳에서는 사범자격증이라는 것이 필요치 않다. 하지만 단증 장사하듯 사범자격증도 수입을 올리는 방편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각 무술 종목 단체들은 그 종목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 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협회의 수입과 연결된다. 따라서 기술은 고유한 형태가 바뀌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가르치고, 관리해서 엉뚱한 기술들이 섞이지 않도록 해준다. 검도와 유도처럼 합기도에 대한 특색을 정확히 이해시키고 전세계 도장에서 새로운 회원들이 모여들면서 자연스럽게 협회가 성장하는 것이 정상적이다.

하지만 중앙에서 기술 통제가 되지 않고 각자 도생하듯 중국무술과 섞이고 태권도와 섞이고 유도와 섞이는 여러 형태가 우후죽순처럼 나타나면 그 종목만의 특징은 사라지고 처음 생긴 단체는 구심점 없이 비슷한 단체들과 단증 발행에 대한 경쟁만 하게 되면서 결국에는 문체부와 같은 정부기관에 의지해서 힘을 얻는 새로운 협회에 의해 사라지게 된다.  

스승과의 오랜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신뢰가 없으면 결국 무술도장은 생계형 사업장으로 바뀌고 관장과 사범은 사장과 점원 관계 그 이상이 될 수 없다. 그렇게 구성된 도장이나 단체는 사제간의 기술전수 보다는 시합을 위한 프로모션의 개념을 갖는 것 같지만 IOC나 GAISF와 같은 국제스포츠 기구에서 개최하는 경기 참가에는 관심을 갖지 않는다. 

고단자는 오랫동안 쌓은 실력이 남다르기 때문에 각종 연무행사에서 대중들의 시선이 집중된다. 그렇게 단위(段位)에 대한 경외심을 일으키며 사람들로 부터 그 무술에 대한 신뢰감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단증 장사를 하는 곳에서는 마니아를 감동시킬 수 있는 진짜 실력있는 고단자는 없고, 실제 고단자들의 연무도 보기 어려울 뿐더러 그들을 위한 마당도 만들지 않는다.

그런 무술들은 결국 싸구려 단증이나 남발하며 성인이 외면하는 무술이 될 수 밖에 없다. 일반인들이 좋아할 수 있도록 한국 무술이 새롭게 바뀌려면 깨어있는 젊은 사람들의 혁명과 같은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윤대현
국제합기도연맹(IAF) 한국대표 아시아합기도연맹 한국대표 (사)대한합기도회 회장 국제합기도연맹 공인 6단 신촌 본부도장 도장장 국제합기도연맹(IAF) 공인사범 도장연락처: 02-3275-0727 E-mail:aikidokorea@gmail.com